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크랩] 가을숙제 (21)
    이해인 수녀님의 詩 2011. 12. 17. 15:42

                                 기쁨이 열리는 창

     

                                       이해인

     

     

    <명상의 창>

     

     

     

    용서하십시오

     

      솔숲 사이로 보이는 진달래꽃이 아름다운 봄, 3월은 내가

    오래 전 수도생활을 시작한 달이어서 더욱 정겹다.  3월에

    입회하는 젊은이들을 보면 나는 아직도 가슴이 뛴다.

     

      처음에 입회해서 모든 것이 서툴기만 한 어린 예비수녀

    였던 내게 가장 신선하게 와 닿은 것은 당연한 듯 보이는

    일에도 서로 아낌 없이 감사의 표현을 하는 것, 아주 사소

    한 실수에 대해서도 서로 미루지 않고 용서를 청하는 모습

    이었다.

     

      우리는 요즘도 일주일에 한 번 정도 공동체에 불편을 끼

    친 자신의 허물과 실수에 대해서 서로 사과하고 용서를 청

    하는 시간을 가진다.  자신의 잘못을 타인 앞에서 소리내 고

    백하는 것은 아무리 친한 사이라도 늘 부끄러운 노릇이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자기의 못난 점이나 잘못을 솔직하고 겸

    손하게 고백하는 모습은 자기의 잘난 점이나 성공담을 자랑

    하는 이의 모습보다 훨씬 아름답고 존경스럽게 보인다.

     

      '용서하십시오'라는 말은 '죄송합니다' '미안합니다'라는

    말과는 좀더 다른 여운과 향기를 풍긴다.  '용서하십시오'라

    는 말에는 자신을 낮추는 부끄러움과 뉘우침이 들어 있다.

     

    뽐내지 않는 겸허함과 기도가 들어 있다.  그러나 이 말을 하

    는 데는 믿음과 용기가 필요하다.  남들이 표현하는 것은 좋

    아보이는데 막상 내가 하려고 할 때면 왜 그리 쑥스럽고 부

    끄러운지.

     

     그렇게 밥 먹듯이 쉽게 했던 이 말을 나는 요즘 그리 자주

    하지 않는다.  초심자 시절에 가졌던 예민함과 순진함을 잃

    어버리고 연륜과 더불어 적당히 무디어지고 뻔뻔해진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사순절에 나는 작은

    잘못에도 진심으로 용서를 청하고 다른 이의 잘못을 너그

    러이 용서할 수 있는 은혜를 구한다.  3월의 꽃샘바람처럼

    깨어 있는 자세로 '용서하십시오'라는 말도 더 자주 연습해

    야겠다.

     

      우리 모두 '피차 불평할 일이 있더라도 서로 용서하십시

    오'(콜로 3:14)라는 성구를 날마다 새겨 읽고 실천하며 용서

    의 꽃밭을 가꾸어가는 새 삶의 주인공이 되면 좋겠다.

     

              

                           <109쪽~ 110쪽>

     

     

    ******************************************************

     

     

    선물의 행복

     

     

      "수녀님은 그야말로 움직이는 선물의 집이네요, '누굴 만

    나면 선물 줄 궁리부터 하나보지요?"  " 그 허름한 헝겊가방

    에서 끝없이 오밀조밀한 것들이 나오니 요술가방이 따로 없

    네!"

      함께 사는 이들로부터 늘상 이런 말을 듣고 사는 나는 "글

    쎄, 주는 선물이라도 너무 집착하면, 곤란할 텐데....... 절

    제하려고 결심하지만 잘 안되네요"하고 변명 아닌 변명을

    해도 행복하다.

     

      오늘도 나는 글방 안에 마련해둔 초록색 선물바구니를 흐

    뭇한 마음으로 들여다본다.

     

      빨간 리본이 달려 있는 네모난 바구니 안에는 색연필, 크

    레용, 꽃카드, 꽃접시, 꽃차, 향초,카드,메모지, 손수건, 책

    갈피,스티커, 책, 묵주 등이 언젠가 선택될 시간을 기다리

    며 가만히 웃고 있다.

     

      이미 내게 있는 책이 다시 생겼거나 특별한 날 내가 선물

    받은 것들 중 나보다 다른 사람에게 가서 더 빛이 나고 도움

    이 될 것들을 바구니에 모았다가 나누는 것은 아주 오래 익

    힌 습관이다.

     

      이웃에게 줄 선물이 필요할 때 나는 일단 이 예비선물 바

    구니에게 적합한 것을 골라 선물받을 이에게 어울리는 글을

    적고, 바닷가에서 내가 주워온 구멍난 조가비에 리본을 끼

    워 예쁘게 포장을 한다.  어떤 이에게 꼭 어울리는 선물을 발

    견했을 적엔 얼마나 반가운지 혼자서 흥분하며 어쩔 줄을

    모른다.  선물받는 이의 밝은 표정과 졍겨운 웃음을 미리 상

    상하며 즐거워하는 내 모습이 다른 사람에게 살짝 들키기를

    바라기도 한다.

     

      '사람들이 수도자에게는 그리 큰 선물을 바라진 않을 거

    야' 하는 믿음이 있기에 선물을 맘에 안 들어하면 어쩌나 하

    는 근심은 거의 하지 않는다.  이렇게 저렇게 선물을 준비하

    는 그 과정이 나에겐 하나의 기도이며 사랑의 작은 예식이

    라는 생각이 든다.  때로는 부담이 된다 하더라도 선물은 사

    람을 행복하게 한다.  서로 마음만 통하면 되지 꼭 드러나는

    선물을 해야 하는 거냐고 누가 볼멘소리를 하면 "사랑은 표

    현을 원하니까요"라고 대답하면서 선물에 너무 인색하게

    구는 것보다는 차라리 헤픈 게 나은 것 같다는 내 나름의 생

    각도 길게 펼쳐 이야기하곤 한다.

     

    "저 드릴 선물이 하나 있는데요" 하고 누군가 말하면 이

    내 궁금해지고, 선물포장을 뜯는 순간 문득 기대와 설렘으

    로 가득한 마음이 되지 않는가? 내가 보낸 선물을 받고 뛸

    듯이 기뻐하고 고마워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듣거나 글을

    받으면 마음이 환해진다.  '세상에 사는 동안 더 열심히 작

    은 선물을 나누어야지'하는 아름다운 다짐도 새롭게 하게

    된다.

     

      선물이 보물이 되려면 더 많은 시간과 정성을 들여야 하

    리라. 아주 오래 전 내가 어느 성당에서 강의를 끝냈을 때

    신자 한 분이 와서 "수녀님은 헝겊가방을 좋아하신다기에

    제가 밤새 만든 것인데 맘에 드실지요?" 하며 건네준 조

    그만 갈색 퀼트 가방을 나는 아직 소중히 간직하고 있다.

     

      얼마 전엔 제주도의 독자가 직접 키운 것이라며 수선화

    다발을 택배로 보내주어 그 특이한 향기를 시들 때까지 맡

    았다.  어떤 대가도 바라지 않고 내가 선물하고 싶은 사람에

    게 시간과 정성을 들여 사랑과 감사를 표현하는 기쁨, 상대

    를 먼저 배려하는 겸손한 기쁨, '선물을 위한 선물'을 할 줄

    아는 기쁨...... 이러한 기쁨들이 더 많이 넘쳐나는 세상이

    면 좋겠다.

     

      나의

     10대엔 어머니가 만들어준 꽃골무와 노리개를,

     20대엔 내가 즐겨 외우던 애송시들을,

    30대엔 내가 쓴 자작시들을 ,

    40대엔 좋은 책들을,

     50대엔 뜻깊은 기도문들을

     

    벗과

    친지들에게 많이 나누어준 것 같다.

     

     이제

    60대에 접어들면서 나는 더욱 마음을 고요히 하고

    물빛 담백한 사랑의 편지를 쓰기로 한다. 

     앞으로 책상 위의

    선물바구니에 들어갈 물건들을 줄더라도 마음의 바구니는

    비지 않도록 알록달록한 무지갯빛 사랑을 가꾸고 키우고 나

    눌 준비를 새롭게 하리라.

     

      선물받는 것보다 선물하는 것이 더 기쁘다고 말하기 보

    다는 선물을 주는 것도 기쁘고 받는 것도 기쁘다고 고백하

    면서 날마다 새롭게 선물을 준비하는 '선물의 집'이 되고

    싶다.

     

                            <109쪽~~115쪽>

     

     

    ****************************************************************

     

     

                           

                                                       (사진)

     

     

                                    조가비를 담아 선물하는 색종이 상자.

     

                                                      <113쪽>

     

     

    ***********************************************************

     

     

     

     

     

     

    여행

     

    깊어가는

    가을여행

     

    행복이었다

     

    우리명랑구름수녀님

    뵙고

    왔으면

    더할 나위 없이

     

    잊혀지지 않는

    가을여행이 되었을 것인데

     

    남겨두고 왔다

     

    다음을 기약하면서

     

    수녀님

    부산집으로 얼른

    돌아오세요

     

     

     

     

     

    2010년 11월13일

     

     

    철없는 농부의아내

     

     

     

    출처 : 민들레의 영토
    글쓴이 : 나무와새 원글보기
    메모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