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마와 숙녀 / 박인환(朴寅煥)
한 잔의 술을 마시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生涯)와
목마(木馬)를 타고 떠난 숙녀(淑女)의 옷자락을 이야기한다.
목마(木馬)는 주인(主人)을 버리고 그저 방울 소리만 울리며
가을 속으로 떠났다, 술병에서 별이 떨어진다.
상심(傷心)한 별은 내 가슴에 가벼웁게 부숴진다.
그러한 잠시 내가 알던 소녀(少女)는
정원(庭園)의 초목(草木) 옆에서 자라고
문학(文學)이 죽고 인생(人生)이 죽고
사랑의 진리마저 애증(愛憎)의 그림자를 버릴 때
목마(木馬)를 탄 사랑의 사람은 보이지 않는다.
세월은 가고 오는 것
한때는 고립(孤立)을 피하여 시들어 가고
이제 우리는 작별하여야 한다.
술병이 바람에 쓰러지는 소리를 들으며
늙은 여류 작가(女流作家)의 눈을 바라보아야 한다.
……등대(燈臺)에……
불이 보이지 않아도
그저 간직한 페시미즘의 미래(未來)를 위하여
우리는 처량한 목마(木馬) 소리를 기억(記憶)하여야 한다.
모든 것이 떠나든 죽든
그저 가슴에 남은 희미한 의식(意識)을 붙잡고
우리는 버지니아 울프의 서러운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두 개의 바위틈을 지나 청춘(靑春)을 찾는 뱀과 같이
눈을 뜨고 한 잔의 술을 마셔야 한다.
인생(人生)은 외롭지도 않고
그저 잡지(雜誌)의 표지(表紙)처럼 통속(通俗)하거늘
한탄할 그 무엇이 무서워서 우리는 떠나는 것일까.
목마(木馬)는 하늘에 있고
방울 소리는 귓전에 철렁거리는데
가을 바람 소리는
내 쓰러진 술병 속에서 목메어 우는데―
박인환 시집 - 1955
이 시는 떠나가는 모든 것들에 대한 애상을 주지적이고 감각적이면서 상징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한 잔의 술, 버지니아 울프, 목마, 숙녀, 방울 소리, 가을, 술병, 별, 가슴, 소녀,
정원, 초목, 문학, 인생, 사랑, 진리, 애증의 그림자, 세월, 고립, 작별, 바람,
여류 작가, 등대, 불, 페시미즘, 희미한 의식, 바위, 청춘을 찾는 뱀, 잡지의 표지,
가을 바람 소리 등과 같은 서럽고 아름다운 언어들은 우리를 더욱 애처롭고
안타깝게 한다.
이 시에서는 신경 쇠약증을 앓다가 간 버지니아 울프의 비극적 생애와 6·25 사변
이후의 불안과 절망으로 얼룩진 전후 세대들의 의식이 적절히 대비되면서 시인의
고뇌가 작품 전체를 주도하는 중요한 요소로 떠오른다.
가을 속으로 떠나가 버린 목마와 숙녀의 애상은 바로 시인의 고뇌이자 동시대인들의
고뇌인 것이다.
박인환(1926-1956)은 김수영, 김경린, 조향 등과 더불어 1950년대 모더니즘 운동을
이끈 대표적인 시인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시의 특징은 6.25 전쟁 이후에 널리 퍼진 허무주의와 상실감을 도시적 감수성과
현대적인 감각으로 그렸다는 데 있다.
그 가운데 박인환은 가장 감성적인 기질을 가진 시인으로, 비애와 절망의 감정을
노래하는 데 치중하여, 자기 체념적 감상주의에 빠져 드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그의 작품 "목마와 숙녀"에는 이러한 그의 기질과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 '목마'는 순수와 동심을 상징하는 시어이며, '숙녀'는 뒤에 등장하는 버지니아
울프(1882-1941)를 가리킨다.
버지니아 울프는 의식의 흐름(끊임없이 흐르고 있는 작중 인물의 심리를 논리적인
맥락에 구애받지 않고 그대로 파악하여 묘사하려는 수법)에 중점을 둔 내면 묘사의
글을 주로 쓴 영국의 여류 소설가이다.
그녀는 "등대로", "세월" 등의 소설을 남기고, 제 2차 세계 대전이 가져온 정신적
중압에 견디지 못했음인지 투신 자살로 생애를 끝마쳤다.
이러한 비극적 생애의 인물과 떠나간 목마, 늙어 버린 소녀, 작별, 쓰러진 술병,
불빛이 보이지 않는 등대 등이 연이어 등장하면서 작품 전체는 시들고 떠나가는
것들에 대한 애상(哀想-슬픈 생각)과 비탄의 노래가 된다.
그러기에 그는 1950년대를 목마가 '주인을 버리고 거저 방울 소리만 울리며/가을
속으로 떠난' 불안한 절망적인 시대로 인식한다.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사랑의 진리마저 애증의 그림자를 버린' 시대인 것이다.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그저 잡지의 통속(通俗)'하다는 구절은 이러한 시대 상황을
절망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그의 쓰라린 독백이다.
즉 모든 아름답고 소중한 가치들이 허망하게 무너진 황량한 세계에서 외로움을
느끼고 어딘가에 호소한다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을 거쳐 마침내 이 시는 '내 쓰러진 술병'으로 끝을 맺는데,
이 마지막 행은 삶에 대한 그의 비관적 태도가 집약되어 나타나고 있는 행이라
할 수 있다.
약간은 가볍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고우면서도 애상이 서려 있는 이 시는 이처럼
모든 떠나간 것들에 대한 허무와 그리움을 감각적이면서도 상징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한 잔의 술, 버지니아 울프, 목마, 숙녀, 방울 소리, 애증의 그림자, 가을 바람 소리
등과 같이 감각적이고 아름다운 언어들은 박인환의 짧은 생애만큼이나 우리들에게
애처롭고 안타까운 느낌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