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독도 약사
    멋지고 귀한자료 2008. 7. 27. 19:34


    Daum 카페

     
    독도 약사

    512년(신라 지증왕 13년) 이사부가 우산국(울릉도·독도)을 정벌 신라영토에 귀속시킴(삼국사기에 기록).
    930년(고려 태조 13년) 고려에 귀속되어 조공관계 유지.
    1416년(조선 태종 16년) 공도정책(空島政策) 실시.
    1425년(조선 세종 7년) 김인우를 [우산무릉등처안무사]로 임명하고 울릉도로 파견; 우산도로 호칭.
    1454년(조선 단종 2년) [세종실록지리지 권 153] 강원도 울진현조에서 그 부속도서로 서 우산도와 무릉도를 열거하고, 이들의 개략적인 위치를 "우산·무릉 2도가 정동해 중에 있다". "두 섬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 날씨가 청명하면 바라 볼 수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세종 14년(1432년)에 편찬된 [신선입도지리지]를 그대로 옮긴 것이라고 머리에 밝히고 있다.
    1469년삼봉도로 호칭
    1693년자산도로 호칭, 동래 어부 안용복이 울릉도 근해에서 왜인을 발견 퇴거시키고, 은기도(隱岐島)를 거쳐 도일하여 덕천관백에게 출어금지서계를 받아 울릉도의 일본어민을 퇴각시킴.
    1697년(숙종 23년) 3년마다 정기적인 치안 확보.
    1881년(고종 18년) 독도라는 호칭 출현, 울릉도 개척령 반포(척민정책), 일본어민의 울릉도 근해 출어에 대해 일본정부에게 엄중 항의.
    1900년(대한제국 광무 4년) 10월 27일「관보 제716호」의 칙령 제41호로 울릉도, 죽도, 석도(독도)를 울릉군수가 관할토록 함.
    1905년1월 28일. 일본각의에서 독도의 일본령 편입 결의, 2월 22일 도근현(島根縣; 시마네현)고시 제40호로 독도의 도근현 편입 발표.
    1905년7월. 독도에 망루설치 해군통신기지로 이용.
    1906년(광무 10년) 3월 5일. 울릉도 군수인 심흥택(沈興澤)의 보고서와 韓末 志士 黃玹의「매천야록」에 독도 관련 기록.
    1907년강원도에서 경상남도 울도군으로 편재(관할권 이전)
    1910년「韓國水産地」제1호 제1편에 한국령으로 표기.
    1914년 경상남도에서 경상북도 울도군으로 편재(관할권 이전)
    1946년월 29일.「SCAPIN(Supreme Commander of Allied Powers Introduction) No.677」(연합군 최고사령관 훈령 제677호; 연합군 최고사령관이 항목문서의 시행을 위해 일본정부에 보낸 각서)에서 '울릉도·독도 및 제주도, 거문도 등 을 일본영토에서 제외'. 맥아더라인 설정으로 일본 선박의 독도접근이 금지됨.
    1948년6월 30일. 미공군 폭격연습으로 독도 출어중인 어민 수 십 명이 희생, '51년 6월 독도 조난어민 위령비 건립, '53년 2월 27일자로 미공군 연습기지에서 독도 제외.
    1952년1월 18일. 대통령이「대한민국 인접 해양의 주권선언」이른바「평화선 선언 (平和線 宣言)」발표.
    1953년일본인이 미국 기를 게양하고 독도에 상륙하여 조난어민 위령비를 파괴하고, 일 본 영유표지 설치 및 한국어민의 독도 근해조업에 대해 항의. 이에 대해 한국정부는 일본에 항의각서 발송, 그해 8월 5일 영토비 건립, 해양 경비대 파견 협의.
    4월 27일. 울릉도 주민(33명)으로 구성된 독도의용수비대 창설(대장: 홍순칠)
    1954년 항로표지(등대) 설치, 동년 8월 10일 점화개시 각국에 통보.
    1956년4월 8일. 독도수비를 국립경찰로 경비임무 인수결정.
    12월 30일. 경비임무 인계인수, '66년 4월 12일 수비대장 홍순칠 공로훈장 수여.
    1980년 최종덕 독도 전입.
    1981년 헬리콥터 이착륙시설 설치.
    1986년 7월 8일. 최종덕의 사위 조준기(가족3명) 독도 전입.
    1991년 11월 17일. 김성도(가족1명) 독도(서도)전입, 울릉경찰서 독도 경비대 32명 근무 (동도).
    1993년 레이더 기지 설치.
    1996년 접안시설 및 어민숙소 착공.
    1997년 울릉읍 도동에 독도 박물관 건립, 접안시설 및 어민숙소 완공.
    1998년 유인등대 완공.
    1999년 유인등대 공식가동.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