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크랩] 고사성어 - 咸興差使 (함흥차사)天 地 玄 黃 中 人 2008. 12. 17. 16:04
咸興差使(함흥차사)
咸:다 함, 興:흥할 흥, 差:보낼,어긋날 차, 使:사신 사
함흥은 지명, 차사는 왕조 시절 중요한 임무를 맡겨 파견하던 임시 벼슬.
'심부름 갔다가 소식이 없이 돌아오지 않는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咸興은 太祖 李成桂(이성계)의 고향이며 差使란 조정에서 懸案(현안)이 있을 때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보냈던 관리를 말한다. 朝鮮 건국후 太祖는 論功行賞(논공행상)을 실시하여 鄭道傳(정도전), 趙浚(조준) 등 개국공신들에게 都評議使司(도평의사사)라는 기구를 만들어 주었다. 당시 이 기구는 막강하여 王族(왕족)과 士大夫(사대부)들의 불만이 높았다.
게다가 太祖가 繼妃(계비) 소생인 芳碩(방석)을 世子로 책봉하자 불만을 품은 正妃(정비) 소생 芳遠(방원)이 太祖가 병석에 있는 틈을 타 사병을 동원해 芳碩과 함께 그의 스승이었던 鄭道傳, 이복 동생 芳蕃(방번)을 죽이고 芳果(방과)를 世子로 앉혔다. 이 사건을 계기로 太祖는 무척 상심해 芳果에게 양위하니 이가 定宗(정종)이다.(1398년)
2년 뒤 芳遠이 스스로 왕위에 오르자 태조는 정치에 환멸을 느낀 나머지 고향 함흥으로 잠적해 버렸다.(1401년) 태종은 평소 태조가 총애하던 成石璘(성석린)을 差使로 보내 가까스로 태조를 모셔오기는 했지만 이듬해 다시 咸興으로 가서는 감감 무소식이었다. 그 뒤 太宗이 문안 인사차 差使를 보냈지만 그때마다 差使는 돌아오지 않았다. 태조는 수차의 간청에도 돌아오지 않다가 태종이 보낸 無學大師(무학대사)의 간청으로 돌아온다. 이때부터 咸興差使라면 갔다가 소식도 없고 돌아오지도 않는 사람을 뜻하게 되었다.
출처 : 한자사랑방글쓴이 : 매화사랑 원글보기메모 :'天 地 玄 黃 中 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오비이락(烏飛梨落)의 교훈 ◀ (0) 2009.03.01 [스크랩] 고사성어 - 反哺之孝(반포지효) (0) 2008.12.17 [스크랩] 고사성어 - 兄弟投金 (형제투금) (0) 2008.12.17 [스크랩] 고사성어 - 狗猛酒酸 (구맹주산) (0) 2008.12.17 [스크랩] 고사성어 - 泥田鬪狗 (이전투구) (0) 2008.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