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과 양력에서의 윤년이란 말은 구분해서 사용해야합니다. 또한 몇월이 윤달이 될지는 여러가지 요소를 복합하여 계산하여야 합니다.
다만 윤달은 1월 다음 2월 이런식으로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음력의 큰달과 작은 달을 결정하는 것도 번갈아가면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달의 합삭을 계산하여 결정합니다.
무중 치윤법(無中 置閏法)
12개의 태음월로 만들어진 순태음력의 1년 길이는 354.3671일로
1 태양년의 길이 365.2422일보다 10.8751일이 짧다. 따라서 3년이 지나면 음력 날짜는 태양의 움직임과 약 33일,
1달 차이가 나게 되어 날짜와 계절의 차이가 많아진다. 음력에서는 이 차이를 없애주고 날짜와 계절을 맞춰주기 위해
가끔 윤달을 도입하여 1년을 13달로 한다. 음력은 태양의 움직임과 3년에 약 1달의 차이가 나므로
윤달은 대체로 3년에 1번, 좀더 정확하게는 19년에 7번이 들게 된다.
음력에서 윤달을 도입하는 방법은 24절기의 12중기에 의한다. 24절기의 각 기 사이는 애체로 15일이므로 한 달에는 대체로 한 번의 절기(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와 한 번의 중기(우수, 춘분, 곡우, 소만, 하지, 대서, 처서, 상강, 소설, 동지, 대한)가 들게 된다. 음력에서 어떤 달의 이름은 그 달에 든 중기로 결정한다. 즉, 어떤 달에 1월 중기인 우수가 들면 그 달은 음력 1월이다. 마찬가지로 음력 11월에는 반드시 11월 중기인 동지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는 절기만 한번 들고 중기가 들기 않는 달이 있다. 이런 경우에는 그 달의 이름을 결정할 수가 없으므로,
그 달을 윤달로 삼고 달 이름은 전 달의 이름을 따른다. 이와 같이 중기가 들지 않는 달, 무중월(無中月)을 윤달로 하는 법을 무중 치윤법이라 한다. 간혹 1년에 2번의 무중월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처음 달만 윤달로 택한다.
윤달(윤월)이라는 것의 자료입니다 예로 보면 음력으로 04월에 윤월이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본달(04월)이 먼저들고 다음달이 윤04월이 됩니다. 1944년부터 2033년까지만 정리했습니다. 아래의 월은 음력을 말하는 것입니다.
1944년은 04월
1968년은 07월
1990년은 05월
2014년은 09월
1947년은 02월
1971년은 05월
1993년은 03월
2017년은 05월
1949년은 07월
1974년은 04월
1995년은 08월
2020년은 04월
1952년은 05월
1976년은 08월
1998년은 05월
2023년은 02월
1955년은 03월
1979년은 06월
2001년은 04월
2025년은 06월
1957년은 08월
1982년은 04월
2004년은 03월
2028년은 05월
1960년은 06월
1984년은 10월
2006년은 07월
2031년은 03월
1963년은 04월
1987년은 06월
2009년은 05월
2033년은 07월
1966년은 03월
2012년은 03월
적절한 수정도 이용자 마음대로 하실수있습니다. 자료제공 : 사주 작명연구 맘단비 정사(精舍)